성씨
성씨(姓氏)는 성(姓)과 씨(氏)의 합성어로,
고대 중국 이후에 성과 씨의 개념이 합쳐져 만들어졌습니다.
현대에 이르러서는 성과 씨의 구분이 없어지고 출생의 계통을 나타내는 칭호입니다
성씨는 단계혈연집단의 한 명칭이며, 혈족을 구분하는 기준의 하나입니다.(백과사전내용)
혈통
대한민국의 성씨는 부계혈통을 본위로 한 호칭이므로,
혼인으로 소속된 가정이 변하더라도 성은 변하지 않습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자녀는 어머니의 성씨를 따를 수 있고,
어머니가 재혼하면 새아버지의 성씨로 바꿀 수 있게도 되어있습니다(콩가루)
외국
미얀마와 몽골은 아예 성씨가 없으며
스페인어권역과 포르투갈권의 국가에는 부계성과 모계성을 모두 사용하기도 한답니다
오늘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 본관별 성씨는 333개나 된답니다
10대 성씨는 김(金), 이(李), 박(朴), 최(崔), 정(鄭), 강(姜), 조(趙), 윤(尹), 장(張), 임(林)씨로
전체 인구의 64%정도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중 김씨가 992만6천명으로 전체 인구의 21.6%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이씨 14.8%, 박씨 8.5%로 3대성씨가 전체인구의 약 45%를 차지하고 있답니다.
본관
본관별 총인구수는 '경주' 482만명, '김해' 448만7천명, '밀양' 340만4천명, '
전주' 321만4천명, '진주' 137만3천명, '안동' 125만9천명 등이 상위권입니다
희귀
인원이 적은 희귀성씨 순서는 상곡마씨(998명)와 남원독고씨(807명), 옥천옹씨(772명) 등입니다.
김이박
우리나라 성씨중 김씨, 이씨,박씨(약 45%)성이 많은 이유에 대해서는 개화기 때 노비제도가 없어지고
성이 대중화되면서 대부분의 사람들이 전 주인의 성씨를 따르거나,
임금의 성(李, 金, 朴)을 쓰겠다는 사람이 많아 일어난 현상으로 보고있답니다.
회원님
심심해서 쓰잘때기없는거
올려서 죄송합니다
어쩌튼
추운날씨
건강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청기골이 찍은 선인장꽃)
- 청기골 올림 -